PR

세인은 관세법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Jan 21, 2022

NEWSLETTER 620

한-GCC(걸프협력회의) FTA 협상 재개 공동선언문 서명

산업통상자원부는 ‘220119GCC 사무총장과 한-GCC FTA 협상을 공식적으로 재개한다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 개요 및 추진경과

 

1. -GCC FTA 공식 재개 공동선언문 서명 개요

 

구분

내용

일시/장소

‘22.1.19() 08:00~08:30(현지시간) / GCC 사무국

참석자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나예프 알 하즈라프 GCC 사무총장 등

주요 내용

-GCC FTA의 공식 재개 선언, 조속한 시기에 타결 등
- 협상범위, 시기 등을 포함한 협상세칙(ToR; Terms of Reference) 서명

 

* GCC(Gulf Cooperation Council : 걸프협력회의) :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타르,

오만, 바레인 6개국의 회원국 간 경제·안보협력 활동을 수행하는 지역협력기구

 

2. 추진경과

-GCC FTA2007년 추진 합의 이후 2009년까지 3차례 공식협상을 개최하였으나, 20101GCC측이 정책 재검토를 사유로 협상 중단을 선언한 이후 10여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며 금년 1분기 중 1차 협상을 개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추진경과는 다음과 같으며 발효일은 미정입니다.

 

일자

내용

‘07

-GCC FTA 추진합의 및 3차례 공식협상 개최(‘087, ‘093, ‘097)

‘1001

GCC측 정책 재검토를 이유로 일·EU 등 대부분의 FTA 협상중단

‘2110

통상교섭본부장-사우디 상무장관 면담(G20) , FTA 협상재개 공감대 형성

‘2111

통상교섭본부장-GCC 사무총장 간, FTA 재개 추진선언
(FTA 재개를 위한 논의 및 내부절차 진행)

‘2201

통상교섭본부장-GCC 사무총장 간, FTA 재개 선언

 

 

. 기대효과

 

1. 협력 프레임 모멘텀 형성

GCC 국가는 우리와 에너지 및 자원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해온 주요 교역 대상이며, 인구·소득·잠재력 면에서 향후 성장가능성이 크고, GCC 국가들의 제조업 육성 노력 등 산업다각화, 신재생에너지, ICT 등 다각적인 분야에서 우리와 협력가능성이 큰 지역

* (GCC 수출) 90억불, (GCC한 수입) 377억불, (GCC 누적투자) 166억불 (‘20)

** (인구) 5,885만 명, (1인당 평균 GDP) 2.4만 불, (14세 이하 인구비중) 26.1%(Economist 추정, ‘20)

 

GCC 국가는 한국과 중동지역 교역량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파트너인 만큼 FTA 체결을 통해 양측 간 협력 프레임을 더 공고히 할 수 있는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

* (‘20년 교역액) 중동: 594억불(수출 147억불, 수입 447억불) / GCC: 466억불(수출 90억불, 수입 377억불)

 

2. 미래 지향적 협력 활동 강화

GCC와의 FTA 체결로 상품과 서비스 교역 증가 뿐 아니라 코로나19 위기로 촉발된 전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 상황에서 자원부국인 GCC와의 협력을 통한 안정된 공급망 구축

* (GCC한 수입) 전체 원유량 68.7% 공급(‘20)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대응, 환경 이슈 등 최근 글로벌 핵심이슈로 떠오른 분야에 대해 협력 확대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

 

3. 미래 산업 분야 투자협력 기대

에너지·건설 인프라 중심의 투자 협력을 뛰어넘어 한국의 첨단 제조 산업 경험GCC 국가들의 산업다각화 정책을 연결하여 의료·보건·스마트팜 등 다양한 미래 산업 분야의 투자협력까지 기대

* 사우디 비전 2030, 두바이 산업전략 2030, 아부다비 경제비전 2030, 카타르 국가비전 2030, 쿠웨이트 국가비전 2035 동 제조업 활성화 정책 추진 중

 

4. 기후변화·탄소중립 등 협력 기대

수소·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에너지와 관련된 녹색 기술 분야의 협력 확대와 한-GCC FTA를 기반으로 한 협력체계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등 글로벌 이슈의 심도 있는 협력 기대